[글로벌]프랑스TV 최대 합병 무산, "콘텐츠는 살고 플랫폼은 죽는 시대"
지난 9월 중순, 프랑스 정부, 1년을 끌어온 TF1와 M6의 합병 검토 '불허'로 결론 내. 광고 시장 점유율(71%)과 채널 독과점으로 여론 독과점 우려로 프랑스 정부가 부정적 여론. 5조 원 규모 방송사 구축으로 넷플릭스와 대항하려는 프랑스 방송들의 노력 물거품. 그러나 프랑스 콘텐츠 수출은 스트리밍에서의 인기 급증으로 사상 최대.
프랑스 방송 사상, 최대 합병으로 불렸던 TF1과 M6가 통합 작업을 최근 철회했습니다. 프랑스 방송 규제 기관의 압박 때문입니다. 두 회사는 프랑스 방송 시장을 서서히 잠식하고 있는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 등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항해 몸집을 키우기 위해 2021년 5월 합병을 추진한 바 있습니다. 합병 규모는 40억 달러(5조 5,000여 억 원)이었습니다.
프랑스 방송 통신 규제 당국의 2022년 9월 초 회의 이후 여론이 합병에 불리하게 돌아가자 TF1의 소유주 대기업 부이그(Bouygues)와 M6의 대주주 RTL그룹(베텔스만이 대주주)은 합동 기자 간담회를 9월 16일 가졌습니다. 이 자리에서 그들은 “합병을 승인 받기 위해서는 TF1이나 M6의 TV 채널 하나를 매각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이럴 경우 더 이상 전략적인 이점(any strategic rationale)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두 회사는 불만도 표출했습니다. 그들은“ 두 회사는 여전히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방송 시장을 파고드는 상황에서 합병이 우리에게 시장 경쟁력을 공급해주는 대안으로 굳게 믿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규제 기관의 가장 큰 우려: 광고 시장]
프랑스 방송 규제 기관인 경쟁청(The Autorité de la concurrence)이 합병 반대로 돌아선 가장 이유는 ‘합병 회사’의 광고 시장 장악입니다.
프랑스 경쟁청은 설명자료에서 “이번 거래가 특히, TV광고 시장과 TV서비스 유통 마켓의 주요 경쟁에 위협을 가할 수도 있다”며 “이번 합병을 반대하는 세력을 두 회사의 시청 점유율이 41%에 달해 여론 독과점 우려도 있다”며 승인 불허 이유를 밝혔습니다.
지난 2021년 5월 TF1와 M6가 합치겠다고 결의할 당시에도 프랑스 내부에선 부정적 여론이 많았습니다. 특히, 합병 회사가 프랑스 TV광고 시장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컸습니다.
광고 시장 획정 ‘방송’이냐 ‘통합(방송+디지털)’이냐 논란
그러나 양사는 방송 시장 주도권이 TV가 아닌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광고’ 지배력 넓게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을 밀어붙였습니다. TF1와 M6의 광고 시장 점유율이 방송으로만 한정할 경우 71%를 넘어서지만 디지털 광고 영역에서는 빅테크에 한 참 밀린다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경쟁사들의 집요한 반대와 시민 단체들의 로비로 결국 최종 합병은 무산됐습니다. TF1와 M6는 결합 후 비용 절감도 예상했지만 이 역시 물거품이 됐습니다.
로이터는 기사에서 “만약 이 거래가 성공했다면 프랑스 TV산업의 지형을 완전히 바꿔놨을 것”이라며 “광고 시장과 관련한 경쟁 규칙를 재정립해 향후 유럽에서 전통 방송사간 유사한 거래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당시 제안된 합병은 부이그가 30%의 점유율을 가지고 RTL이 16%의 지분을 보유하는 계약이었습니다. 합병회사의 경영은 부이그(M6)가 맡기로 했었습니다.
[합병 실패 후 스트리밍과의 전쟁은 ‘오리 무중’]
그러나 부이그가 소유한 TF와 독일 미디어 그룹 베텔스만(Bertelsmann)이 컨트롤하고 있는 M6는 지난 2022년 9월 16일(프랑스 시간) 합병 신청을 공식 철회했습니다.
프랑스 경쟁청으로부터 채널 매각을 해야할 수도 있다는 언질을 받은 이후입니다. 이어 두 회사는 회의를 가지고 경쟁청이 프랑스 방송 시장을 흔들 수도 있는 이 거래를 적극적이고 그리고 속도감 있게 추진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해 결국 ‘합병을 무효화’하는 결정까지 했습니다.
TF1와 M6의 거래는 유럽 방송 규제 당국과 방송사 사이에서 큰 관심을 끌어왔습니다.
소셜 미디어, 스트리밍 시대에 대응하는 ‘방송 지형을 만드는 주요 케이스’가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두 회사의 합병은 전통적인 방송의 오디언스가 줄어듦과 시청률이 떨어짐에 따라 합병을 통해서 규모의 경제를 유지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사실, 부이그와 베텔스만도 물론 두 회사의 합병이 현행 경쟁법의 경계(the boundaries of competition law)를 넘어선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지금은 규제 기관과 의회가 디지털 광고와 스트리밍의 부상으로 인한 미디어 시장의 근본적인 변화를 인지할 시간”이라고 계속 주장해왔습니다. 이와 동시에 TF1와 M6 합작사가 프랑스 TV광고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정부 기관의 우려와 관련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들은 또한 “규제 기관이 거래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경우 TV와 온라인 광고 시장을 포함해 ‘관련 시장(relevant market)’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럴 경우 당연히 합작사의 광고 시장 지분은 떨어집니다.
그러나 프랑스 규제 기관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부상이 현재 규제 기준을 무시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아직은 방송의 위상이 크며 스트리밍의 위협은 규제의 근간을 흔들 정도는 아니라는 논리입니다.
프랑스 경쟁청 대표 브누아 꾀레(Benoît Cœuré)은 공식 성명에서 “소비자 행동의 변화…광고주 입장에서 TV광고와 온라인 광고가 충분히 상호 교환 가능하다는 고려는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The changes in consumer behaviour . . . do not permit us to consider that television ads and online ads are sufficiently interchangeable from advertisers’ point of view)
그는 또 “TF1와 M6의 합병을 허용할 경우 광고 단가가 인상돼 광고주들과 소비자들에게 손해를 끼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TF1와 M6의 합병 불발로 베텔스만의 유럽 확장 계획도 차질이 불가피해보입니다.독일과 룩셈부르크 등 유럽 전역에 방송, 신문, 잡지 등을 보유한 베텔스만은 독일을 넘어 유럽 최대 방송 미디어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베텔스만의 CEO 토마스 라베(Thomas Rabe)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와의 2022년 8월 인터뷰에서 “TF1와 M6의 합병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엄청난 후폭풍을 가져다 줄 것”이라며 “독일과 다른 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방송사간 합병 등에도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라베 CEO는 현재 독일에서 ‘독일 RTL방송과’ 경쟁사인 ProSiebenSat. 1의 합병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합병 무산 이후 베텔스만은 성명을 내고 “독일 내 ‘전국 미디어 챔피언(national media champions)’을 만드는 데 전념할 것”이라며 “베텔스만은 프랑스 규제 당국의 결정에 동의하지 않으며 프랑스 정부가 글로벌 플랫폼과 경쟁하는 프랑스 미디어 시장을 공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것”이라고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프랑스 내에서는 TF1과 M6의 합병이 억만장자 마틴 부이그(Martin Bouygues)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 무대로도 인식됐습니다. 부이그 집안은 프랑스에서 건설과 부이그텔레콤 등 통신 기업들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 오너입니다.
부이그 그룹은 그동안 프랑스 공공 영역에 많은 도로와 건설, 통신망 등을 건설하며 정부와 관계를 친밀한 관계를 맺어왔습니다. 사실 부이그 그룹의 영향력의 상당수는 TF1에서 나왔습니다. TF1은 메인 뉴스(nightly news programme) 기준 프랑스 시청률 1위입니다.
TF1 그룹은 현재 5개의 방송 채널(TF1, TMC, TFX, TF1 Séries Films, LCI)과 스트리밍 서비스 MYTF1, TFOU MAX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작 스튜디오(Newen Studios)의 경우 프랑스와 글로벌 시장에 40여 개 거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영화 스튜디오 ‘TF1 Films Production’도 운영하고 있는데 ‘슈퍼 히어로 말 그레 리(Super-Héros Malgré Lui) 등 인기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M6그룹은 13개 방송 채널을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대표 민영 방송사입니다. 역시 디지털 스트리밍 서비스 6Play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방송의 자존심, 살토의 미래도 불투명]
이번 합병 무산은 두 회사가 운영 중인 프랑스의 대표 스트리밍 서비스 살토(Salto)의 운영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지난 2020년 10월 M6와 TF1, 프랑스 공영방송 텔레비지옹(france Televisions)이 33%씩 지분을 가지며 공동 스트리밍 서비스 살토를 런칭했습니다. 넷플릭스(Netflix) 등 글로벌 스트리밍에 대응하는 프랑스 방송사들의 문화와 엔터테인먼트가 합쳐진 ‘컬처테인먼트(Culturetainment)’ 성격이 강했습니다.
2022년 3월 24일(미국 시간) TF1과 M6는 합병에 성공하면 프랑스 공영방송 텔레지옹이 보유하고 있는 살토 지분(33%)을 모두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33%의 지분 가치는 4,500만 유로(605억 원) 정도입니다. TF1과 M6는 성명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그룹(M6+TF1)은 살토 지분의 100%를 보유하게 된다.”며 “스트리밍 서비스에 공격적 경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프랑스 공영 방송은 합병 이후 자신들이 가진 지분이 소액으로 전략해 ‘경영권 유지’가 쉽지 않은 만큼, 살토 지분 매각 후 자체 무료 스트리밍 채널 ‘프랑스TV’를 더 강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델핀 에르노트(Delphine Ernotte) 텔레비지옹 대표는 2021년 12월 르 피가로와의 인터뷰에서 “TF1과 M6의 합병과 관련해 고민이 많다.”며 “현재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 1위인 프랑스TV(France.tv)에 우리의 노력을 집중할 필요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합병이 무산된 만큼 프랑스 텔레비지옹의 살토 지분 매각 작업도 계획대로 진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 스트리밍의 프랑스 시장 공세 속 고전하고 있는 살토는 합병 불허 이후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와 관련 프랑스 텔레비지옹은 밀레니얼, Z세대 등 젊은 시청자들을 위한 틈새 스트리밍 플랫폼 슬래쉬(Slash)를 런칭하기도 했습니다.
[플랫폼은 죽고 콘텐츠는 사는 시대, 프랑스]
프랑스 방송 시장도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에 서서히 장악 당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디즈니+뿐만 아니라 2022년 5월 HBO MAX도 상륙했습니다. 프랑스에서도 미국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의 점유율이 매우 높습니다.
넷플릭스는 첫 만 명에 가까운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고 프랑스 현지 스트리밍 서비스인 카날 플러스(Canal Plus)와 협업한 디즈니+도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2월 파라마운트+(Paramount+)도 연 말 프랑스 상륙을 밝혔습니다.
플랫폼은 죽고 있는 반면, ‘프랑스 콘텐츠’의 몸값은 올라가고 있습니다.
프랑스 시장과 글로벌을 위한 프랑스 콘텐츠 제작 및 투자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도 프랑스 콘텐츠에 구애를 보내고 있습니다.
스트리밍 시대의 대표적인 특징인 ‘콘텐츠의 부상과 플랫폼’의 추락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콘텐츠는 해외를 날지만, 플랫폼은 국내에 머무르고 있는 한국과도 같은 현상입니다.
프랑스 영화 TV 해외 판매를 집계하는 ‘National Center for Cinema and the Moving Image (CNC)와 영화, TV 진흥 기구 유니 프랑스(Unifrance)’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은 2021년 프랑스 콘텐츠 제작 및 유통에도 많은 영향을 줬습니다. 팬데믹 당시 멈춰있던 제작이 앞다퉈 진행되면서 병목 현상이 일어났고 물리적 유통 시장이 회복됐지만 경제 악화로 인한 방송사의 경영 불확실성도 이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1년 프랑스 콘텐츠의 선판매와 공동 제작 투자는 3억7,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했습니다. 2021년 프랑스 제작에 대한 해외 투자는 급증해 200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해외 선판매(Foreign pre-sales)는 연간 기준 30.5% 늘어나 사상 처음 1억 유로를 돌파, 1억 150만 유로(1,384억 원)에 달했습니다. 공동 제작에 대한 해외의 기여(The foreign contribution to co-productions)는 10.2% 올라 총 8,840만 유로로 2003년 이후 사상 최고였습니다. 다만, 프랑스 콘텐츠의 지난해 전 세계 판매량(international sales across the board)은 1억 8,610만 유로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에 비해 5.5% 감소했습니다.
프랑스 콘텐츠 해외 판매 증가에는 드라마와 영화가 한 목했습니다.
이 두 장르 콘텐츠 판매는 전년 대비 21.85 올라, 5,730만유로(794억 원)를 기록했습니다. 전체 해외 판매에 차지하는 비중도 3분의 1(30.8%)이 넘었습니다. 지난 2017년 6,379만 유로를 달성한 이후 두 번째로 좋은 기록입니다.
프랑스 TV유통 협회(SEDPA) 회장 엠마누엘레 주아놀(Emmanuelle Jouanole)은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스트리밍 서비스들 사이에서 프랑스 콘텐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콘텐츠 제작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며 “이에 글로벌 오디언스에게 프랑스 콘텐츠가 보다 더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VOD시장의 경우 프랑스 콘텐츠의 새로운 해외 판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서비스(FAST)와 광고 지원 저가 구독 서비스(AVOD)에 프랑스 콘텐츠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프랑스 콘텐츠의 글로벌 점유율은 1.5%로 한국(3.3%)에 이은 7위였습니다.
한편, 프랑스 내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콘텐츠 지출(the global spend for foreign projects in France)도 크게 늘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에 총 6억 7,860만 유로로 급증했는데, 이는 프랑스의 해외 제작에 대한 세금 환급(Tax Rebate for International Productions, TRIP)의 영향이 크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프랑스는 해외 자본의 자국 내 콘텐츠 투자에 대해 최대 40%의 세금을 환급해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플랫폼은 죽고 콘텐츠는 살거나, 그 반대의 경우로 글로벌 시장에서 공공한 사업자는 없습니다. 콘텐츠의 관점에서 M6와 TF1의 합병 무산을 면밀히 볼 필요도 있습니다.